분류 전체보기
천자문046.靡恃己長
靡 恃 己 長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자신이 장점(長點)을 가지고 있더라도 스스로 믿어서는 안되니, 믿으면 진익(進益: 진전)이 없게 된다. 서경(書經) 에 이르기를 "자신이 선(善: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 선(善)을 잃는다." 하였으니, 가장 경계하고 살펴야 할 일이다. 이 두 구(句)를 알면 자기 몸을 닦을 수 있을 것이다. 靡: 아닐 미, 쏠릴 미 恃: 믿을 시 己: 몸 기 長: 길 장
천자문045.罔談彼短
罔 談 彼 短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군자(君子)는 자신의 행실을 닦는 것을 급히 여기기 때문에 남의 장단(長短)을 점검할 겨를이 없는 것이다.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남의 불신(不信)을 말하다가 후환(後患)을 어찌하려는가?" 하셨으니, 마땅히 체념(體念)하여야 할 것이다. 罔: 없을 망 談: 말씀 담 彼: 저 피 短: 짧을 단
규범 문법과 서술 문법
규범 문법(Prescriptive grammar) 규범 문법이란 언어를 개선하고 변화를 막을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만든 문법입니다. 18세기와 19세기 영국 문법학자들이 수많은 규범 문법을 만들어 냈으며, 이들은 당시 라틴어를 영어보다 우수한 언어로 여기고 라틴어 문법을 따라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to boldly go처럼 부사가 to와 동사 사이에 들어가는 '분리 부정사'는 틀렸다는 것이 규범 문법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라틴어에서 부정사는 한 단어이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습니다) 현실성 없는 문법 규칙이지만 지금도 이 규칙이 옳다고 믿고 분리 부정사를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이와 비슷한 문법 규칙으로 문장은 전치사로 끝날 수 없다는 규칙이 있습니다. What are you waiting..
동의어의 의의(sense) 차이
동의어의 의의(sense) 차이 모니카는 말랐다. Monica is thin. Monica is skinny. Monica is slender. 여기에 쓰인 형용사 thin, skinny, slender는 동일한 사람 Monica의 외모를 두고 쓰는 표현들로서 같은 뜻을 가지는 동의어들입니다. 하지만 이 표현들에는 약간의 의미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의의(sense)의 차이로 생각합니다. 이 표현 중에서 thin은 중립적이 표현이고, skinny-(비쩍 여윈)는 다소 경멸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또한 slender(날씬한)는 아부적인 의미를 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을 집합으로 나타내면 thin [+THIN, 0PEJORATIVE, 0FLATTERING] skinny [+THIN, +PE..
동사구의 구성요소
John left. John has a book. John is tall. Mary put the book on the shelf. Mary looks beautiful at night. Mary sat on the chair. 위 문장들에서 동사구(NP)를 뽑아 보도록 합시다. a: left VP→V b: has a book VP→V NP c: is tall VP→V Adj d: put the book on the shelf VP→V NP PP e: looks beautiful at night VP→V Adj PP f: sat on the chair VP→V PP 이 예에서 모든 동사구의 유형이 다 기술되어 있습니다. (Chomskry교수의 Aspects 이론에 따르면) 이 공식을 하나로 정리하면 VP..
명사구의 구성요소와 순환성
NP(명사구)는 N(명사) 앞에 Det(한정사)를 두어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명사 앞에 수식어로 한정사 뿐만 아니라 형용사(Adjective)나 수사(Numeral) 등이 올 수도 있지요. a new book Det Adj N the two new books Det Numeral Adj N the man's book Det N N 명사구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는 명사 앞이 아니 뒤에 오기도 합니다. 핵명사(Head Noun)뒤에 수식어가 오는 것이죠. the book on the table the table near the wall the wall in the corner 위 예는 핵명사뒤에 전치사구(PP: Prepositional Phrase)가 수식어로 오는 경우들입니다. 앞에서 본 대로 ..
영어 문장과 어순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다 말이 아니듯 문자로 써져 있다고 다 글이 아니죠. 글을 이루는 단위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중심이 되는 요소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장을 만드는 데에도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 규칙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단어의 순서, 즉 어순(word order)입니다. 문장에서 단어의 뜻만 가지고 이해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어순 때문입니다. 우리가 쓰는 한국어는 비교적 어순에서 자유롭습니다. '나는 영어를 열심히 공부합니다' '나는 열심히 공부합니다 영어를' '영어를 열심히 공부합니다 나는' 이처럼 단어의 순서를 바꿔도 다 의미가 통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문장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느낄 것입니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동사) 순서를 가지는 S(subject)+..
만화에 널리 쓰이는 영어 표기법
영어 만화를 보면 "'"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말을 줄인 표현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작가들이 이런 특별한 방식으로 비표준 발음이나 대화체 발음을 표기합니다. 'e's gone 'ome. = He's gone home. 그는 집에 갔다. 이런 식으로 발음하는 않는 철자를 생략 부호(')를 사용해서 표기하지요. 다음 예를 보고 원래 문장을 맞혀 보세요. 'elp yerself. Yer gettin' old. If I get me 'ands on yer... Where d'she put 'em? C'mon, we're late. C'n I'ave a glass o' water? fish 'n' chips Come wi' me. I dunno. I gotta go. It's gonna rain. I don't..
표준 영어와 영어 방언
표준 영어(Standard English) 기원후 878년 알프레드 대왕이 바이킹을 물리친 후 런던에 남부 잉글랜드 정부가 세워졌고, 훗날 런던은 영국의 수도가 됩니다. 수도가 위치한 관계로 런던과 미들랜드 동부 지방의 영어가 차츰 '공식' 영어로 채택되고,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노르만 프랑스어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발달한 이 지역의 방언이 결국 '표준' 영어로 자리잡게 됩니다. 행정 및 법률, 산업, 교육, 문학 등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영어가 되는 것입니다. 다른 표준 언어처럼 표준 영어도 바로 역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표준말이 서울말을 토대로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역사의 가정은 없지만 만일 북부 잉글랜드를 지배했던 바이킹에게 잉글랜드 군대가 졌다면, 오늘날 영국의..
affect-effect
affect-effect affect affect는 동사입니다. 어떤 점에서 사람이나 사물에 "변화를 주거나 영향을 미치다"라는 뜻입니다. the way in which computers can affect out lives 컴퓨터가 우리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사항들 The disease affected Jane's lungs. 그 병은 제인의 폐를 침범하였다. effect effect는 보통 명사로 쓰입니다. 어떤 일의 결과로 발생하는 "변화나 사건"이라는 뜻입니다. the effect of noise on people in the factories 공장 노동자에게 끼치는 소음의 영향 This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students from teachers. 이것이 교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