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천자문046.靡恃己長
靡 恃 己 長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자신이 장점(長點)을 가지고 있더라도 스스로 믿어서는 안되니, 믿으면 진익(進益: 진전)이 없게 된다. 서경(書經) 에 이르기를 "자신이 선(善: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 선(善)을 잃는다." 하였으니, 가장 경계하고 살펴야 할 일이다. 이 두 구(句)를 알면 자기 몸을 닦을 수 있을 것이다. 靡: 아닐 미, 쏠릴 미 恃: 믿을 시 己: 몸 기 長: 길 장
천자문045.罔談彼短
罔 談 彼 短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군자(君子)는 자신의 행실을 닦는 것을 급히 여기기 때문에 남의 장단(長短)을 점검할 겨를이 없는 것이다.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남의 불신(不信)을 말하다가 후환(後患)을 어찌하려는가?" 하셨으니, 마땅히 체념(體念)하여야 할 것이다. 罔: 없을 망 談: 말씀 담 彼: 저 피 短: 짧을 단
천자문014.珠稱夜光
珠 稱 夜 光 구슬은 야광(夜光)이 일컬어진다. 야광(夜光)은 진주의 이름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수(隨)나라 임금이 용(龍)의 아들을 살려주자, 용은 지름이 한 치가 넘는 진주를 주어 그 은혜에 보답하니, 진주가 빛나 밤에도 대낮과 같이 환하였다. 이것을 초왕(楚王)에게 바치자, 초왕은 크게 기뻐하며 몇 대가 지나도록 수나라에 무력침공을 가하지 않았다. 珠: 구슬 주 稱: 일컬을 칭 夜: 밤 야 光: 빛 광
천자문013.劍號巨闕
劍 號 巨 闕 칼은 거궐에서 이름났다. 거궐(巨闕)은 보검(寶劍)의 이름이니, 구야자가 주조한 것이다. 월왕(越王) 구천이 오(吳)나라를 멸망시키고 보검 여섯 자루를 얻었는데, 오구(吳鉤), 담로(湛盧), 간장(干將), 막야(莫邪), 어장(魚腸)이며, 이 거궐도 그 중의 하나이다. 劍: 칼 검 號: 이를 호 巨: 클 거 闕: 집 궐
천자문012.玉出崑岡
玉 出 崑 岡 구슬은 곤강(崑岡)에서 나온다. 곤(崑)은 산 이름이니 형산(荊山)의 남쪽에 있다. 초(楚)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이 산에서 옥(玉)을 얻어 성왕(成王)에게 바치니, 화씨벽(和氏壁)이라 이름하였는데, 뒤에 진(秦)나라는 이것으로 옥새를 만들었다. 玉: 구슬 옥 出: 날 출 崑: 뫼 곤 岡: 뫼 강
천자문011.金生麗水
金 生 麗 水 금(金)은 여수(麗水)에서 나온다. 여수(麗水)는 운남성(雲南省) 영창부(永昌府)에 있는데, 이 지방 사람들이 물 속에서 모래를 건져 내어 백번을 도태(淘汰)하면 금(金)이 나온다. 金: 쇠 금 生: 날 생 麗: 고울 려 水: 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