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동사구의 구성요소
John left. John has a book. John is tall. Mary put the book on the shelf. Mary looks beautiful at night. Mary sat on the chair. 위 문장들에서 동사구(NP)를 뽑아 보도록 합시다. a: left VP→V b: has a book VP→V NP c: is tall VP→V Adj d: put the book on the shelf VP→V NP PP e: looks beautiful at night VP→V Adj PP f: sat on the chair VP→V PP 이 예에서 모든 동사구의 유형이 다 기술되어 있습니다. (Chomskry교수의 Aspects 이론에 따르면) 이 공식을 하나로 정리하면 VP..
명사구의 구성요소와 순환성
NP(명사구)는 N(명사) 앞에 Det(한정사)를 두어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명사 앞에 수식어로 한정사 뿐만 아니라 형용사(Adjective)나 수사(Numeral) 등이 올 수도 있지요. a new book Det Adj N the two new books Det Numeral Adj N the man's book Det N N 명사구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는 명사 앞이 아니 뒤에 오기도 합니다. 핵명사(Head Noun)뒤에 수식어가 오는 것이죠. the book on the table the table near the wall the wall in the corner 위 예는 핵명사뒤에 전치사구(PP: Prepositional Phrase)가 수식어로 오는 경우들입니다. 앞에서 본 대로 ..
명사구
명사구 (Noun Phrase) 명사구란? 명사가 홀로 나타나지 않고 그것의 수식어와 함께 나타나면 명사구(NP)가 된다. 하지만 반드시 수식어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명사만 나타나도 명사구에 포함된다. 명사구의 특징 대부분의 명사구는 다음과 같은 통사적 공통점을 가진다. 명사구의 핵어(head word)는 대부분 명사이다. 그 핵어가 명사가 아니거나 핵어를 정확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명사구가 있다. 명사구는 부정관사(a/an)와 결합하면 비문(非文)이 되기도 한다. 예제. They live in a flat. All horses are animals. The whale is about 33 meters long. The rich are not always happy. I don't know who lo..
굴절접사
굴절접사 영어 접사(affix)에는 굴절접사와 파생접사가 있다. 그 중에서 굴절접사는 8개가 있고, 나머지는 파생접사이다. 굴절접사어근예{PLU} = 복수(plural)명사boys{POSS} = 소유격(possessive)명사boy's{COMP} = 비교급(comparative)형용사older{SUP} = 최상급(superlative)형용사oldest{PRES} = 현재(present)동사walks{PAST} = 과거(past)동사walked{PAST PART} = 과거분사(past participle)동사driven{PRES PART} =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동사driving
Teaching reading 읽기 지도
Teaching reading 읽기와 쓰기는 문자에 관련된 기술이고 자연스러운 행위는 아니다. 듣기와 말하기는 일찍 배우고 상대적으로 용이하지만 읽기와 쓰기는 누구나 다 배우는 것은 아니다. 심지어 문자가 없는 언어도 있다. 한 사회가 영구적인 기록은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데 사용된다. 왜 읽어야 하는가? 7가지 이유가 있다. 1. 어떤 주제에 대한 호기심 또는 어떤 목적을 위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2. 일이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해 3. 연극, 게임, 문제를 풀기 위해 4. 친구와 편지를 주고 받거나 무역서신을 이해하기 위해 5. 언제 어디서 무슨 일이 일어나거나 무엇이 가능한지를 알기 위해 6. 신문, 잡지, 보고서를 통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위해 ..
Product-oriented vs Process-oriented approach
Product-oriented approach Only final product was emphasized 1. meet certain standards 2. reflect accurate grammar 3. be organized in conformity with what the audience would consider to be conventional "model" compositions Process-oriented approach 1. focus on the process 2. to understand their own composing process 3. to build repertories of strategies 4. give students time to write and rewrite ..
~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heavy traffic, we arrived on time. 차가 매우 막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제 시간에 도착했다. despite는 전치사로서 '~에도 불구하고'의 뜻입니다. 구어체에서는 in spite of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In spite of the heavy traffic, we arrived on time. despite와 in spite of는 전치사(구)이기 때문에 명사(구)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절을 목적어로 쓸 때에는 종속접속사 although가 양보의 내용을 이끕니다. Although the traffic was heavy, we arrived on time. despite 다음에 the fact를 써서 동격의 명사절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Des..
가정법에서 were 쓰임
If I was ten years younger I'd do the job myself. 내가 열 살만 젊었어도 직접 그 일을 할 텐데. I wish it was Friday. 오늘이 금요일이었으면 좋겠다. 이 문장에서 틀린 곳을 찾아 보세요. If I was ten years younger I'd do the job myself. → If I were ten years younger I'd do the job myself. 학교에서 가정법을 쓸 때에는 were를 써야 한다고 배웠는데 실제 원어민들은 were를 쓰는 일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영단어]bonnet - hood
우리 나라에서는 자동차 앞 쪽에 있는 엔진 부분을 덮는 덮개는 '본네트'라고 부르죠. 네이버에서 '본네트'로 검색하니 '보닛(bonnet)'의 잘못된 표현이라고 하네요. 영국 영어에서는 bonnet라고 하고, 미국 영어에서는 hood라고 합니다. I unlocked the boot and laid the tools on the bonnet. 나는 트렁크를 열고 보닛 위에 연장을 놓아 두었다. ...the raised hood, under which I had bent to watch the mechanic at work. 정비공이 일하는 것을 보려고 몸을 굽혀 들어올린 보닛 아래로